X
    Categories: 사람들

치킨만 봐도 식은땀이 흐른다는 ‘새 공포증’ (사진 3장)


‘치느님’이라는 별명까지 얻으며 많은 이들에게 사랑 받는 국민 메뉴 치킨.

ADVERTISEMENT

보기만 해도 군침이 도는 이 치킨이 누군가에게는 ‘공포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고 한다.

최근 미국의 과학 전문 매체 레드오빗은 우리 주변에서 드물지 않게 접할 수 있는 ‘새 공포증(Ornithophobia)’에 대해 소개했다.

새 공포증은 새를 의미하는 단어 ‘ornitho’와 공포를 뜻하는 단어 ‘phobia’가 합쳐진, 말 그대로 조류를 두려워하는 정신신경증적 증상이다.

ADVERTISEMENT
Gettyimagesbank

이 증상을 가진 사람들은 조류를 보면 불안감이나 공포심을 느끼는데, 특히 조류의 눈이나 부리, 날개, 발을 볼 때 증상이 심해진다.

ADVERTISEMENT

경미한 불안 증세만 나타나는 경우도 있지만 심한 경우 호흡 곤란, 어지러움, 경련 등의 증상까지 나타나 일상 생활에 크게 지장을 주기도 한다.

새 공포증은 흔히 알려진 질병은 아니었으나 1963년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의 영화 ‘새’로 인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ADVERTISEMENT

실제로 이 영화가 개봉한 후 새 공포증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증가했으며 새가 두려움의 대상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

Gettyimagesbank

새 공포증의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전문가들은 보편적으로 어린 시절의 학습과 경험에서 기인한다고 추정한다.

ADVERTISEMENT

정신병리학자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새 공포증이 어린이들 사이에서 가장 자주 일어나는 정신신경증적 질병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어린 시절 새에게 공격당한 경험이나 전통적으로 흉조로 여겨진 독수리, 까마귀 등의 모습이 뇌리에 남아 무의식적인 방어 기제가 작동한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또한 최근 도심에 비둘기 개체 수가 급증한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비둘기가 병원균을 옮긴다는 사실이 확인되며 공포의 대상이 됐고,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개체 수에 공포심이 배가된 것이다.

연합뉴스

이 증상이 심한 사람은 살아 있는 조류가 아닌 ‘음식’을 봐도 두려움을 느낀다.

ADVERTISEMENT

따라서 치킨을 보고도 식은땀을 흘리며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존재한다는 것.

지난 2012년 방송된 tvN ‘화성인 바이러스’에서는 극심한 새 공포증 때문에 치킨만 보고도 불안 증세를 호소하는 쌍둥이 자매가 치료를 받는 모습이 그려졌다.

ADVERTISEMENT

또한 배우 차승원은 영화 ‘귀신이 산다’ 촬영 중 닭 수백 마리에게 공격당하는 장면을 촬영한 후 새 공포증을 앓게 됐다고 고백하기도 했다.